top of page
손질 3대원리

 손질 수련의 기초적인 원리를 곧은 손질을 통해 설명해 보기로 하자. 동이 택견의 손질 수련에서는 3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 3 방향의 힘을 '손질의 3대 원리라고 칭한다. 다만 여기에 설명한 손질의 3대 원리로 모든 손질의 원리가 설명될 수는 없다. 보법이 땅에 붙어있는 기본 손질의 원리를 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손 밀기는 아래와 같은 손질의 3대 원리가 조화를 이룰 때에 제대로 힘을 낼 수가 있다.

첫째 내 앞 발에 무게 중심이 7십이 실려 하야 하고 둘째 뒷발에 무게 중심이 3십이 실려야 하며 셋째 허리를 뒷발 쪽으로 숙이면서 7십의 힘이 실려야 하며 나머지 3십의 힘은 전진한 앞발에 실려야 한다.


제 1원리 : 미는 손이 앞으로 밀고 나가는 힘

 

첫 번째로 미는 손 자체가 내는 전진력이 작용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손목, 팔꿈치, 어깨 관절에서 나오는 힘 내지는 탄력을 바탕으로 한다.

 

두 번째로는 허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골반이 옆면으로 튕겨 나오는 허리의 탄력이 손질에 강한 전진력을 준다. 이렇게 손질에 허리의 탄력을 싣기 위해 허리를 젖혀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은 얼르기에서 허리를 좌우로 꺾어주는 것과도 연관성을 갖는다. 얼르기를 하면서 활시위를 당기는 듯한 탄력으로 몸을 움직이라는 말을 하는데 이것은 손질에도 적용되는 말이다. 즉 허리를 뒤로 탄력 있게 젖히는 것은 허리를 활시위처럼 이용해 손을 화살처럼 날릴 수 있게 해 준다. 즉 허리는 '활시위', 손은 '화살'이 되는 것이다.
허리를 젖힌다는 것은 오금과 엉덩이의 움직임과 함께 한다. 즉 허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엉덩이는 앞으로 밀려나가고 오금은 화살을 막 쏘아 보낸 활시위처럼 앞쪽으로 휘게 된다. 즉 허리와 오금은 "( "모양처럼 휘게 된다. 그리고 여기에 엉덩이와 발을 붙이면 "--(" 혹은 "Y"자 모양과 같은 자세가 될 것이다.

제 2원리 : 허리가 뒤로 젖혀지는 힘

허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은 손으로 밀거나 치고 나가는 손에 힘을 실어주고 동시에 뒤쪽으로 힘을 작용하여 손질이 끝난 후에 몸이 앞으로 쏠려 중심이 무너지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앞으로 밀고 나가는 손질의 '힘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해서 중심을 지켜주는 것이다.
위와 같이 동이 무예 택견의 많은 기본 손질들은 허리를 뒤로 많이 젖히는 것을 매우 강조한다. 그리고 그런 허리의 젖혀짐이 가지는 의미도 차이가 있다.

동이 택견 에서의 '허리 젖힘'은 다음을 위한 것이다.

첫째, 허리를 뒤로 젖힘으로서 허리의 힘을 손질에 실을 수 있다.

두 번째, 허리를 뒤로 젖힘으로써 반격에 대비해 호흡을 넣어줄 수 있고, 또 공격을 흘리기 쉽게 할 수 있다. 호흡이 들어간다는 의미는 숨을 들이마신 후에 잠시 멈춘 자세나 내쉬는 자세가 된다는 것이다. 호흡이 빠질 때 즉 숨을 내 들이실 때 타격을 받게 되면 치명상을 입게 된다. 그리고 몸이 뒤로 젖혀지면 위에서 아래서 내려 찍는 공격이 아닌 이상 다 흘려보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중심을 잘 잡게 해 준다. 허리를 많이 젖히면 몸의 중심 점이 낮아져서 보다 안정적인 자세가 되고 걸이 기술에도 잘 걸리지 않게 된다.
"몸이 뒤로 젖혀지면 미는 공격에 당하기 쉽다"는 지적은 동이 무예 택견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동이 무예 택견의 대부분의 발질은 뒷발을 들어 전진하면서 앞으로 손질을 하기 때문에 앞으로 미는 힘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설사 상대가 밀더라도 간단하게 밀려서 뒤로 넘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상대가 밀려나가거나 최악의 경우, 서로 튕겨나가게 될 것이다.
그리고 몸을 거의 수평이 될 정도로 젖히게 되면 몸을 밀려 해야 밀수가 없다. 몸이 뒤로 젖혀져서 상대의 손이 닿지 않게 되고, 또 결정적으로 몸이 가로로 누워있기 때문에 뛰어들어 위에서 누를 수 있을지언정 뒤로 밀수는 없다.

오랜 동안의 수련을 통해 내공이 어느 정도 쌓이면 허리의 젖히는 정도를 좀 줄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내공은 무협 소설에서 접할 수 있는 '검증 불가능한' 개념이 아니라 호흡을 넣고 빼는데 있어서 수련의 깊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제 3 원리 : 중심 발의 받쳐 주는 힘

중심 발은 다리와 허리의 가운데에서 중심을 받쳐준다. 중심 발이 제대로 받쳐주기 위해서는 오금의 힘과 탄력이 상당히 강해야 한다. 이런 오금의 힘과 탄력 등은 얼르기를 통해서 얻어진다. (얼르기 자세에서 오금 즉 무릎 관절은 계속 굴신을 계속하면서 몸의 중심을 지탱하기 때문이다.) 얼르기에서의 무릎의 계속되는 구부림과 펴짐, 즉 굴신력이다.
결국은 이 세 가지 방향에서의 힘이 손 밀기 손질의 위력을 강하게 하고 또한 동시에 방어를 유리하게 한다. 이것을 발질의 3대 원리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세 가지 방향의 힘이 서로 다른 방향이라고 해서 손질의 위력을 감소 시키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 힘을 강하게 한다. 받쳐주는 힘은 당연히 문제될 게 없고, 다만 몸을 뒤로 젖히는 힘의 방향이 발이 나가는 방향과 반대라는 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몸을 뒤로 젖히는 것은 동시에 발과 허리에 강한 탄력을 실어준다. 그리고 몸이 뒤로 젖힌 힘이 작용하는 시점은 몸이 뒤로 젖혀진 후 즉 발질이 거의 끝난 시점이다. 따라서 뒤로 젖혀주는 허리가 손질 자체의 힘을 저하 시킨다고 보기는 어렵다.

손질 연습방법

손질을 연습할 때는 아래와 같이 보다 다양한 상황을 상정하고, 그에 맞게끔 여러 가지로 수련할 필요가 있다. 어느 한 가지 방법에만 치우치는 것은 위험하다.

첫 번째, 손질을 익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을 얼르기 보법 즉 걷기를 하면서 익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얼르기의 리듬에 맞추어 손질을 미는 연습을 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손질을 함에 있어 항상 허리의 요동을 넣어주고 호흡을 넣었다 빼는 습관을 가지게 해 준다. {이런 습관을 통해 우선은 손질 수련으로 몸이 다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나아가 실전에서의 능숙한 호흡 조절을 익힐 수 있다.} 그리고 한쪽 손질을 연습할 때 한쪽 면의 근육이 지나치게 장시간 동안 긴장되어 불균형 적으로 굳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전후로 움직이면서 얼르기를 하게 되면 양쪽 근육이 교대로 긴장되고 풀어지기 때문이다. 힘이 더 들더라도 항상 얼르기를 하면서 손질을 연습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한다.

두 번째, 본때를 연습하면서도 손질을 연습한다.

본때에도 손질이 들어가 있다. 본때에서 손질을 연습할 때는 끊어 치는 식으로 수련 하지 않는다. 약간 밀듯이 조금은 느릿느릿하게 손질을 연습한다. 기를 끊지 않고 실어 보내는 식으로 찬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세 번째, 견주기를 통해 손질을 연습한다.

견주기를 통해서는 다양한 보법을 밟으면서, 또한 공방을 주고받으면서 손질 연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와의 대치 상황에 따른 손질의 변화 및 그에 따른 적용을 몸으로 익힐 수 있다.

 

bottom of page